목디스크 6

흉곽 출구 증후군 / 목 디스크랑 혼동

이 근육학적 문제는 목 디스크와 가장 크게 혼동을 하는 증상을 갖고 있습니다. 증상만 갖고 본다면 사실 거의 같다고 봐야겠죠. 목 디스크는 목을 45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머리를 아래로 살짝 눌러 보면 저림 증상이 나타나면 목 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하는 근육적 문제는 흉곽 출구 증후군. 증후군이라는 말 자체가 원인이 여러군데에서 온다는 소리죠... 제가 배우고 또 관리하는 관점에서 보면 상 승모근의 단축, 견갑 거근과 사각근의 협조로 인해...사각근, 쇄골하근, 소흉근에서 신경이 눌려서 저림 증상이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하나 봐줘야 할 근육은 바로 대흉근. 손, 손가락이 저리면 무조건 디스크가 아니라는거, 특히나 경추(목) 부위는 디스크의 발현 현상이 드물게 나타나는 신경..

상식들 2023.10.10

슬와근(오금근)

(사진은 오른쪽 다리) 슬와근은 무릎의 잠금 해제 역활을 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허리 통증이 있는 분들은 한방학적으로 이 자리를 풀어주기도 합니다. 가끔씩 슬와근을 만져서 풀어주면 무릎에 훨씬 도움이 될겁니다. 나머지는 관리사에게..^^ 중랑구 동일로 130길 6 미소 플러스 BD 301호 02 2208 0832 010 2021 3022 / 엘베, 주차가, CCTV내외부모두(관리실 off가능) 1회 5만원 10회시 2회 더 서비스

근육학기초 2023.01.10

흉쇄유돌근 - SCM

. 흉쇄유돌근...말이 참 어렵죠? 쉽게 풀어서 근육이 흉골지와 쇄골지로 ..그리고 유양돌기에 붙고...합쳐서 흉쇄유돌근. 엄지 끝과 검지 끝에 붙어서 손목에 붙는다면 엄검손목근..뭐..말도 안되는 얘기지만 그런 식의 풀이입니다. 요즘은 목빗근이라는 한글 명칭이 있긴합니다만...아직까지도 대부분은 저 골 때리는 명칭들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냥 쭉 패스하시고...그거 알려고 보는건 아니니까요.. 제 글의 목적은? 누구나 한글만 읽을 수 있으면 이해가 가능하게...... 흉골지 근육과 쇄골지 근육의 Trp가 어디에 통증을 일으키냐가 문제인데 쉽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앞에 있는 근육 즉 흉골지는 주로 앞쪽으로.. 쇄골지는 주로 뒤쪽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이명이나 이런 부분에는 흉골지가 매핵끼나 눈 주위 또는..

근육학기초 2022.12.13

이상근 증후군 (좌골 신경통)

동양에서 좌골 신경통이라고 불러서 왼좌를 사용하는게 아니고 앉을 좌를 사용해서 앉으면 증상이 더 심해진다는 얘기로 그렇게 불릴겁니다. 이상근 증후군 . 알면 아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근육성 + 신경성 문제인데 오늘은 스트레칭 아나토미라는 책자에서 사진 한장을 퍼 왔습니다. 물론 저작권은 책주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공공의 목적으로 잠시 한 부분만 가져옵니다. 보통 국내도 그렇고 국외도 마찬가지고 점 점 더 나은 방법으로 진보합니다. 나름 권위있는 책에서 퍼온 내용이라 이 역시도 참고 차원에서 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010 2021 3022 상담환영

스트레칭Anatomy 2022.12.01

이상근 증후군(좌골 신경통)

이상근 증후군(좌골 신경통) 흔히 이 통증은 스스로 디스크로 인식하거나 또는 타인에 의해 디스크로 판명을 하는 경우가 아주 많죠. 간단한 데스트만 가져도 디스크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는데 안타깝게도 현실은 수술이 ㅠ ... 어쨋든 1번째로 이상근 증후군인지 테스트를 먼저 해보고 의심이 된다면 이상근을 풀어주고 상태가 호전된다면 이상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대둔근까지도 풀어서 이상근의 긴장을 늦춰져야 하겠지요.. 2번째로 이와 관련된 근육중 두군데 정도만 더 풀어주고 관리가 어느 정도 지난 시기에는 강화하는 쪽으로 병행한다면 지긋했던 다리 저림을 정말로 평생 떨쳐 버릴 수 있을겁니다. 모든 통증은 Trp를 풀어주고 스트레칭 시켜주고 그 다음 강화 시켜주면 다시 고생을 안합니다. 운동이 없는 관리는 ..

근육학기초 2022.10.24

손, 아귀에 힘이 없을때

중랑구 중화동 바디 케어 탑 체형관리 샵에서 (02-2208-0832) 알려 드리는 아주 간단한 팁입니다. 주로 근육량이 적은 여자분들이 이런 경우를 자주 겪는데 손에 힘을 줬을 때 힘이 없고 , 손을 꽉 쥐어 악력을 유지 해볼려고 해도 저절로 풀리는 경우가 많죠.....어떤 유전적 질병이 아니고 어느 날 갑자기 그런다면 이 두 근육을 마사지 해보세요. 1 승모근 2 사각근 상부 승모근을 부지런히 풀어줍니다. 이유까지 얘기하자니 복잡하긴한데 신경이 지나갑니다. 시간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앞에 SCM 즉 흉쇄 유돌근을 같이 풀어주면 더 좋고요..안되면 상부 승모근만.. 그리고 사각근......사각근은 신경의 복합체입니다. 보통은 어떻게 풀어야 할지 잘 모르시니까...내 목의 옆 라인에 사각근이 있다고 보시..

근육학기초 2022.06.17